top of page

예술이 우리를 화목하게 할 수 있을까?

 

2010년 나는 본인의 내면에 갈라져 있던 두 마음을 안고 그것에 대하여 본격적인 작업을 시작했다. ‘내면의 갈라짐’은, 삶의 다방면에서 불확실한 진리를 탐구하면서 겪게 된 여러 증상들이었다. 희귀 난치성 질병과 정신적 강박, 우울증, 그리고 공황장애까지 내면의 고통은 구체화된 이름의 질병으로 드러나기 시작했고, 본인은 이러한 질병들을 치유하고자 내 안에 다투고 있던 마음들을 보듬어야 했다.

현대 사회에서 많은 이들이 일상에서조차 이러한 ‘두 마음’으로 인해 고민하거나 괴로워하는 것을 본다. 아주 쉬운 예로, 선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마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거짓말을 일삼는 그 괴리의 순간들을 모두가 경험해봤을 것이다.

 

나의 작업은 이러한 ‘두 마음’에 대한 고발과 초월을 이야기한다. 화해한 두 마음처럼, 두 공간 혹은 두 존재를 화해시키며, 연합된 초월적 풍경과 초월자들을 만든다. 주로 하늘을 비롯한 자연물에서 영감을 받아 시를 쓰듯 작업하는 것을 즐기는데, 은유와 상징성을 가진 기하학적, 유기적 이미지의 구성을 통하여 새로운 풍경을 만들어 내는 실험을 하고 있다.

 

2022

 

 

Can the arts bring us together?

 

As I was living with the dilemma, I started working in 2010, holding my divided heart inside me. The ‘inner split’ was a symptom that I experienced because I couldn’t find the ‘truth’ anywhere.

Rare incurable diseases,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depression, and even panic attacks began to prevail on me. Nevertheless, in order to treat these diseases, I had to comfort the broken heart within me.

In modern society, many people worry or suffer from 'divided minds'. For example, knowing that you should have a good heart, but lying for your own benefit is the moment you experience the gap.

 

My work talks about the accusation and transcendence of these ‘divided minds’. Like two reconciled hearts, it reconciles two spaces or two beings, creating a united transcendent landscape and transcendent people.

I enjoys writing poems inspired by natural objects, including the sky, and is experimenting with creating new landscapes through the composition of geometric and organic images with metaphor and symbolism.1

2022

-

 

단단한 구름

 

지금까지의 여러 작업들에서 가장 중요한 소재는 바로 ‘구름’이다. 사실 구름은 하늘을 인지하게 해주는 가장 좋은 매개체이면서 동시에 초월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매체라고 생각한다. 충만한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디에서든, 모든 모양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그동안은 하늘과 합일되는 땅에 대한 이야기로, 구름 위로 떠오르는 인체들의 풍경을 그린 <비범한 풍경> 시리즈를 그려왔다. 그러나 초월자에 대한 정의를 다시 내리기 시작하면서 그 풍경이 조금 달라졌다. 하늘로 승천하는 인간의 모습이 아닌, 온 땅을 덮어버린 하늘의 모습으로 초월적 풍경을 전환하고 있다.

 

새로운 시리즈 <단단한 구름>은 여러 겹으로 겹쳐진 구름 레이어로 이루어져 있는데, 하늘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빽빽하게 내려앉은 구름의 모습이다. ‘빽빽한 구름’은 성서에서 신이 강림하는 순간을 묘사한 것으로, 내가 생각하는 초월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순간과 일치한다고 느꼈다.

 

2023

The most important material in many works so far is ‘cloud’. In fact, I think that clouds are the best medium for perceiving the sky and at the same time have the best properties of showing transcendence. It is made up of an abundance of water, can exist anywhere and in all forms, and has vitality.

  

In the meantime, I have been drawing the <Extraordinary scenery> series, which depicts the landscape of human bodies floating above the clouds, with a story about the land being united with the sky. However, as the definition of the transcendental person began to be defined again, the landscape changed a little. The transcendent landscape is being transformed into the image of the sky covering the whole land, rather than the image of a human ascending to heaven.

  

The new series <Thick Cloud> is composed of several layers of overlapping clouds, which are so dense that the sky cannot be seen clearly. The ‘dense cloud’ describes the moment when God descends in the Bible, and I felt that it coincided with the moment when transcendence is most clearly revealed.

2023

bottom of page